나눔과미래 소개
나눔과미래
걸어온 길
조직
오시는 길
나눔과미래 활동
사무국
성북주거복지센터
종로주거복지센터
아침을여는집
따뜻한사회주택기금
주거재생팀
서울양천지역자활센터
커뮤니티
공지·알림
재정보고
활동가의시선
후원자의시선
자료실
뉴스레터 구독 ✉️
후원신청 💕
나눔과미래 소개
나눔과미래
걸어온 길
조직
오시는 길
나눔과미래 활동
사무국
성북주거복지센터
종로주거복지센터
아침을여는집
따뜻한사회주택기금
주거재생팀
서울양천지역자활센터
커뮤니티
공지·알림
재정보고
활동가의시선
후원자의시선
자료실
커뮤니티
Home
나눔과미래 소개
나눔과미래 활동
커뮤니티
공지·알림
재정보고
활동가의시선
후원자의시선
자료실
활동가의시선
사단법인 나눔과미래는 집 걱정없는 행복한 마을을 만드는 우리 마을 보금자리 지킴이 입니다.
전체 850건 6 페이지
제목
날짜
작성자
[청년마을] 따뜻한 볕 아래 활짝 피운 나눔의 힘
※ 신내동 사회적주택은 청년들이 입주해 살고 있는 셰어하우스로, 주변 시세의 50% 이하의 임대료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공공임대주택의 성격을 가진 만큼 LH 소득 자산 조사를 마친 청년들만 입주할 수 있습니다.안녕하세요? 나눔과미래 유지예 활동가입니다.신내동 청년마을은 입주민들이 *모떠꿈사업으로 옥상에 전구와 잔디, 평상을 놓아 꾸며놨지만 코로나…
나눔과미래
22.11.30
780
2022-11-30
나눔과미래
[활동보고]2022년 10월 활동보고
나눔과미래는 주거권네트워크, 주택임대차보호법개정연대, 공공임대주택두배로연대, 용산정비창 개발의 공공성 강화를 위한 공동대책위원회, 홈리스추모제공동기획단 주거팀, 재난불평등공동행동, 내놔라공공임대 농성단 등 주거권 보장을 위한 연대를 이어갑니다.활동에 대한 내용은 링크 연결되어 있으니 문구를 클릭하시거나 첨부 파일을 확인 해주세요:-)&…
나눔과미래
22.10.28
500
2022-10-28
나눔과미래
[주거재생]도시재생 거점시설 조성 과정의 주민참여와 행정에 의한 주민참여 위축
도시재생 거점시설 조성 과정의 주민참여와 행정에 의한 주민참여 위축 도시재생에서 주민참여는 어느 정도 수준으로 되고 있을까? 도시재생사업에서 일반적으로 가장 많은 예산과 역량이 집중되는 도시재생 거점시설 조성 사업은 이를 들여다 볼 수 있는 사업이 아닐까 생각된다.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주민과 지원조직의 노력으로 긍정적인 주민참여결과들이 있음…
나눔과미래
22.10.27
670
2022-10-27
나눔과미래
[양천지역자활센터] "완벽한 여정이었다. 한 번 더 할 수 있을 정도"
“It's been a perfect journey.” 얼마 전, 담당하고 있는 편의점 사업단 분들과 함께 워크숍 겸 간담회로 난지공원 캠핑장을 찾았습니다. 코로나 이후 3년여 만에 날씨도 화창하고 좋으니 야외로 나가 고기를 구워 먹으려는 생각이었죠. 급하게 찾다 보니 장소 선정도 쉽지 않았지만 편의점 업무 특성상 문을 닫을 수도 없고,…
나눔과미래
22.10.27
630
2022-10-27
나눔과미래
[성북주거복지센터] 앞으로도 가야할 길이 많이 남았습니다
▲ 장위동 하천변에서 노숙 중인 박00님 짐 앞으로도 가야할 길이 많이 남았습니다 거리에서 - 고시원에서- 주거상향지원까지 성북주거복지센터에서 일을 하기 시작한지 얼마 되지 않은 상황에서 운명처럼 앞에 나타난 거리 노숙 중인 박00님. 장위동 재개발 공사 중인 하천변에서 노숙을 하고 있는 분이 있다는 민원에 센터장님과 …
나눔과미래
22.10.04
642
2022-10-04
나눔과미래
[아침을여는집] 한시적 노숙인 의료급여 제정 고시, 누구를 위한 것인가?
한시적 노숙인 의료급여 제정 고시, 누구를 위한 것인가? 노숙인 진료 시설 지정제 폐지해 건강권 확대해야.코로나19가 시작된 지도 벌써 3년여의 세월이 흘렀다. 이 가운데 노숙인 시설 이용인의 숫자가 2017년 시설 정원의 평균 약 70% 정도였으나, 코로나 발생 이후 급격히 줄어 정원의 50%를 밑돌게 되었다. 2012년 노숙인…
나눔과미래
22.10.04
536
2022-10-04
나눔과미래
[활동보고] 2022년 9월 활동보고
나눔과미래는 주거권네트워크, 주택임대차보호법개정연대, 공공임대주택두배로연대, 용산정비창 개발의 공공성 강화를 위한 공동대책위원회, 홈리스추모제공동기획단 주거팀, 재난불평등공동행동 등 주거권 보장을 위한 연대를 이어갑니다.활동에 대한 내용은 링크 연결되어 있으니 문구를 클릭하시거나 첨부 파일을 확인 해주세요:-) [22년 9월 연대 활동]…
나눔과미래
22.09.23
582
2022-09-23
나눔과미래
[종로주거복지센터] 쪽방에서 일반주택으로 이사하기까지 여정
쪽방에서 일반주택으로 이사하기까지 여정양현원(가명)님은 자활센터 임대주택교육을 통해 임대주택제도를 처음 접하여, 본인도 임대주택을 신청할 수 있는지 용기 내어 센터로 찾아오시게 되었다고 하셨습니다. 2평도 안 되는 공간에서 다리도 뻗지 못하고 쭈그려 쪽잠을 청하고 계신 양현원(가명)님은 쪽방에서 나와 집에서 발 뻗고 푹 자보는 게 소원이라고 하셨습…
나눔과미래
22.08.30
834
2022-08-30
나눔과미래
[활동보고] 2022년 8월 활동보고
나눔과미래는 주거권네트워크, 주택임대차보호법개정연대, 공공임대주택두배로연대, 용산정비창 개발의 공공성 강화를 위한 공동대책위원회, 홈리스추모제공동기획단 주거팀, 재난불평등추모행동 등 주거권 보장을 위한 연대를 이어갑니다.활동에 대한 내용은 링크 연결되어 있으니 문구를 클릭하시거나 첨부 파일을 확인 해주세요:-) [22년 8월 연대 활동]…
나눔과미래
22.08.29
634
2022-08-29
나눔과미래
[따뜻한사회주택기금] 공공임대주택이 해답이다
우리나라의 PIR(연소득 대비 주거비)은 약 24배로, 이는 24년을 꼬박 저축해야 주택을 마련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그렇다 보니 요즘은 집을 순전히 자신의 힘으로 마련하는 것은, ‘꿈’, ‘로또’라고 불릴 정도로 주거비 부담이 가히 살인적이다. 이런 상황에서 ‘지/옥/고’라는 열악한 주거환경에 거주하는 분들에게 “더 열심히 일해서 집을 마련하라.”라는 …
나눔과미래
22.08.29
732
2022-08-29
나눔과미래
[활동보고] 2022년 7월 활동보고
나눔과미래는 주거권네트워크, 주택임대차보호법개정연대, 공공임대주택두배로연대, 용산정비창 개발의 공공성 강화를 위한 공동대책위원회, 홈리스추모제공동기획단 주거팀 등 주거권 보장을 위한 연대를 이어갑니다.활동에 대한 내용은 링크 연결되어 있으니 문구를 클릭하시거나 첨부 파일을 확인 해주세요:-) [22년 7월 연대 활동]  …
나눔과미래
22.07.27
541
2022-07-27
나눔과미래
[사무국] 세상에서 가장 긴 기다림
* 나눔과미래는 성북구 내 주거취약계층을 지원하고 있습니다.2000년부터 보문/안암동 인근의 홀로 어르신 밑반찬지원사업을 진행했고, 최근까지도 성북구청의 보조금을 연계하여 주거취약계층에 대한 지원을 해왔습니다. 2021년부터 생활 안정 및 영양지원을 위해 지원 가구 수를 늘리고, 연례행사로 연 2회 지원을 나가고 있습니다. 매서운 겨울,…
나눔과미래
22.07.20
785
2022-07-20
나눔과미래
[청년마을] 1인 가구의 주거, 그리고 공동체
※ 석관동 사회적주택은 청년들이 입주해 살고 있는 곳으로, 주변 시세의 50% 이하의 임대료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공공임대주택의 성격을 가진 만큼 SH 소득 자산 조사를 마친 청년들만 입주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나눔과미래 유지예 활동가입니다. &nbs…
나눔과미래
22.06.29
1064
2022-06-29
나눔과미래
[활동보고] 2022년 6월 활동보고
나눔과미래는 주거권네트워크, 주택임대차보호법개정연대, 공공임대주택두배로연대, 용산정비창 개발의 공공성 강화를 위한 공동대책위원회 등 주거권 보장을 위한 연대를 이어갑니다.활동에 대한 내용은 링크 연결되어 있으니 문구를 클릭하시거나 첨부 파일을 확인 해주세요:-) [22년 6월 연대 활동] -220602 [기자…
나눔과미래
22.06.29
531
2022-06-29
나눔과미래
[지역자산화] 해빗투게더, '운영'단계 돌입하며 '시즌2' 시작
<편집자 주>자산화의 동료들을 만납니다. 지역/시민자산화, 커뮤니티/클러스터 공간을 추진하고 있는 분들을 만나 그동안의 활동상과 근래의 상황, 고민을 듣고 모아 정리해 전합니다. 이 글은 지역자산화협동조합 홈페이지에도 실렸습니다.마포의 해빗투게더 협동조합은 서울지역의 대표적인 시민자산화 사례로 꼽히죠. 지난해(2021년) 여름 ‘…
나눔과미래
22.06.28
793
2022-06-28
나눔과미래
게시물 검색
검색대상
제목
내용
제목+내용
회원아이디
회원아이디(코)
글쓴이
글쓴이(코)
검색어
필수
검색
처음
이전
열린
6
페이지
7
페이지
8
페이지
9
페이지
10
페이지
다음
맨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