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눔과미래 소개
나눔과미래
걸어온 길
조직
오시는 길
나눔과미래 활동
사무국
성북주거복지센터
종로주거복지센터
아침을여는집
지역활성화국
서울양천지역자활센터
커뮤니티
공지·알림
재정보고
활동가의시선
후원자의시선
자료실
뉴스레터 구독 ✉️
후원신청 💕
나눔과미래 소개
나눔과미래
걸어온 길
조직
오시는 길
나눔과미래 활동
사무국
성북주거복지센터
종로주거복지센터
아침을여는집
지역활성화국
서울양천지역자활센터
커뮤니티
공지·알림
재정보고
활동가의시선
후원자의시선
자료실
커뮤니티
Home
나눔과미래 소개
나눔과미래 활동
커뮤니티
공지·알림
재정보고
활동가의시선
후원자의시선
자료실
활동가의시선
사단법인 나눔과미래는 집 걱정없는 행복한 마을을 만드는 우리 마을 보금자리 지킴이 입니다.
전체 857건 33 페이지
제목
날짜
작성자
[주거재생]도시재생 주민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보고서 발간
나눔과미래 주거재생팀에서 사회투자지원재단과 함께 '도시재생 주민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보고서를 발간하였습니다. 재개발의 폭력성에 대한 대안으로 도시재생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고 있습니다. 도시재생사업은 자신이 살고 있는 지역에 대해 주민들 스스로 주인의식을 갖고 사업에 참여하는 것이 큰 특징입니다.…
나눔과미래
16.07.14
577
2016-07-14
나눔과미래
[성곽마을 주민 네트워크 모임] 도시농업에 대해 알아봅시다!
[성곽마을 주민 네트워크 모임] 도시농업에 대해 알아봅시다! -일시: 2015.7.22 (수) 10:00~13:00 -장소: 교남동 주민 센터 2층 회의실 이번 네트워크 모임의 주제는 마을을 더 풍요롭게 꾸미는 도시농업입니다. 빈 공간을 활용해 마을을 아름답게 만들고 주민들에게 값진 열매도 주는 무엇…
나눔과미래
16.07.14
626
2016-07-14
나눔과미래
성곽마을 부암동권역에서 간담회가 있었습니다.
*모든 사진은 클릭하면 더 크게 보실수 있습니다. 주거재생팀에서 진행하는 성곽마을만들기사업의 일환으로 부암동권역에서 주민들과 마을 공동체 활성화에 대한 내용의 간담회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지난 5월 27일에는 부암동 카페주체들과 주민들과 함께하는 첫 번째 간담회 자리가 있었고, 6월 15일에는 두 번째 간담회를 진행…
나눔과미래
16.07.14
660
2016-07-14
나눔과미래
성곽마을의 3가지 관점에 대한 극복 필요와 대안
성곽마을의 3가지 관점에 대한 극복 필요와 대안 관점 1) 시민에게는 장점이지만 성곽마을 주민에게는 장애인 한양도성 성곽마을주민들은 한양도성과 인접해 있어서 필연적으로 일정한 제약 속에서 삶을 영위해 나가게 마련이다. 한양도성이 있음으로 인해 한양도성이라는 문화재 보호와 관리를 위해 주택 개량…
나눔과미래
16.07.14
632
2016-07-14
나눔과미래
사회적 기업 ‘동네 목수’의 박학룡 대표 인터뷰 "성곽 마을과 마을 운동"
-개인적으로 마을 운동을 시작하게 된 계기는? 나의 첫 관심은 마을이라기보다는 주거권에 있었다. 서울의 많은 사람들이 자기 집이 없고 불안한 주거 상황에 놓여있는 현실을 보았을 때 나는 여전히 절대적 빈곤이나 먹는 것을 걱정하는 인구도 있지만 가장 시급한 것은 주거의 문제라고 생각했다.&n…
나눔과미래
16.07.14
752
2016-07-14
나눔과미래
정든마을 어르신들과 함께 하는 점심밥상
5월은 가정의 달이죠. 그래서 행사가 많습니다. 정든마을 주민운영위원회에서도 가정의 달을 어떻게 보내야 할까 고민했었어요. 그러다 마을 회장님이 제안하신 게 어르신 대접이었어요. 작년엔 아이들이 놀 수 있는 프로그램을 했으니 올해는 어르신들을 위한 것도 있어야 할 것 같다고. 국수부터 삼…
나눔과미래
16.07.14
631
2016-07-14
나눔과미래
성곽마을 네트워크 행사 ‘다 같이 돌자 성곽 한 바퀴’를 무사히 마쳤습니다.
4월 22일 수요일, 교남동 주민센터에서 성곽마을 주민들이 다 함께 모였습니다. 아침 일찍 조금 비가 내려 걱정되긴 했지만 행사가 시작될 때쯤에는 거짓말처럼 맑은 하늘을 볼 수 있었습니다. 먼저 센터 안에서 서울 KYC 도성길라잡이의 양승수님께서 성곽에 관련된 이…
나눔과미래
16.07.14
670
2016-07-14
나눔과미래
마을공동체의 이해와 성공적인 마을만들기 조건
예전에 교육을 위해 정리했던 자료입니다. 개괄적인 내용이 담겨 있어서 마을공동체 도입기의 공동체에게 적합하리라 생각해 공유합니다. 마을공동체의 이해와 성공적인 마을만들기 조건.pdf
나눔과미래
16.07.14
685
2016-07-14
나눔과미래
성곽마을 네트워크 행사 "다 같이 돌자 성곽 한바퀴"에서 4월 22일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다 같이 돌자 성곽 한바퀴"에서 4월 22일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한양도성 성곽마을 주민/ 성곽마을에 관심이 많은 시민, 민간단체 및 기관활동가 모두 모여 이야기 나누어 보아요. 아름다운 성곽을 걸으며 타 지역 주민들과 다양한 이야기와 정보를 나누고 나아갈 방향을 공유 합니다! 또한…
나눔과미래
16.07.14
604
2016-07-14
나눔과미래
도시재생 전문가 과정에 대한 생각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첨부파일 참고해 주세요
도시재생을 자격증화 하는 것은 도시재생이 가지고 있어야할 공동체성이 라는 지엽적 전문성(?)을 너무 가벼이 보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고, 도시공학적 전문성이 강조되어 보였다. 사실 도시재생은 물리적 재생에 앞서 공동체 재생과 이를 위한 사회경제적 재생(문화예술이 콘텐츠로 중요한 역할을 하는)이 먼저 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는 기존…
나눔과미래
16.07.14
573
2016-07-14
나눔과미래
도시재생 중간지원 조직에 대한 생각 정리
도시재생 중간지원 조직에 대한 생각 정리 도시재생 중간지원조직 연구(2014. 국토연구원) 참고- 2015. 03.30 최봉명 1. 시민사회 기반 및 현장 인적자원이 약화 시민사회에서 네트워크가 형성되어 있지 않고 역량 있는 활동가를 구하기도 어려운 상황이어서 많은…
나눔과미래
16.07.14
666
2016-07-14
나눔과미래
성곽마을 네트워크 모임을 무사히 마쳤습니다.
지난 3월 25일 수요일에 서울시청 3층 소회의실에서 성곽마을 네트워크 모임이 있었습니다. 한양도성 성곽이라는 공통점은 있지만 서로 멀리 떨어져 교류가 없었던 성곽마을 주민들이 서로 한자리에 모여 의견을 모으는 자리였습니다. (좌 박학룡/우 배정학) 먼저 사회적 기…
나눔과미래
16.07.14
606
2016-07-14
나눔과미래
성곽마을 네트워크 "모여라~ 성곽마을"에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모여라~ 성곽마을"은 3월 25일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한양도성 성곽마을 주민/ 성곽마을에 관심이 많은 시민, 민간단체 및 기관활동가 모두 모여 이야기 나누어 보아요. 다른 권역의 성곽마을 사례를 보고, 내가 거주하고 활동하는 성곽마을에 대해 자유롭게 이야기 나눕니다. 게다가 다른 …
나눔과미래
16.07.14
566
2016-07-14
나눔과미래
달이 쉬어가는 행촌에서 좋은 氣 많이 받고 왔습니다!
서울 성곽길로 오르면 마을이 보입니다. 한양도성의 위엄에 옹기종기 작은 집들이 돋보이지 않지만, 오랜 세월 성곽을 둘러싸고 역사를 함께 해온 성곽마을은 저마다 독특한 가치와 문화를 가지고 있습니다. 서울시 한양도성 주변 성곽마을 보전/관리…
나눔과미래
16.07.14
793
2016-07-14
나눔과미래
"달이 쉬어가는 행촌에 氣받으러 오세요!" 한양도성 성곽마을 가치공유 프로젝트 제2탄
한양도성과 인접해 살고 있는 성곽마을의 주민들이 오랜동안 쌓아온 역사문화자원을 발견하고 시민 모두가 함께 누릴 수 있도록 서울시와 함께 가치공유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북정마을에 이어 두번째 가치공유 프로젝트를 실시합니다. 행촌 지역은 홍난파 가옥, 옛 기상대 자리, 권율장군의 집터 등 많은 역사문화자…
나눔과미래
16.07.14
536
2016-07-14
나눔과미래
게시물 검색
검색대상
제목
내용
제목+내용
회원아이디
회원아이디(코)
글쓴이
글쓴이(코)
검색어
필수
검색
처음
이전
31
페이지
32
페이지
열린
33
페이지
34
페이지
35
페이지
다음
맨끝